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약 가점제도 완벽 정리 이것만 살펴보세요

by skyisland 2025. 9. 22.

청약 가점제도에 관련한 사진

 

 

청약 가점제도 완벽 정리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많은 사람들에게 아파트 청약은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신청한다고 해서 당첨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점수를 매겨 우선순위를 정하는 제도가 바로 청약 가점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약 가점제가 무엇인지, 어떻게 점수가 계산되는지,

그리고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청약 가점제도란?

청약 가점제도는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우선적으로 아파트 분양 기회를 주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단순 추첨 방식이 아니라,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을 기준으로 점수를 계산해,

점수가 높은 사람에게 우선적으로 당첨 기회를 제공합니다.


2. 청약 가점 계산 항목

청약 가점은 총 84점 만점으로 구성됩니다.

세 가지 항목에 따라 점수를 합산합니다.

  1. 무주택 기간 (최대 32점)
    • 만 30세 이후 또는 혼인신고일 이후부터 계산합니다.
    •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 예: 1년 무주택은 2점, 15년 이상은 32점.
  2.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 주민등록등본에 함께 등재된 가족을 기준으로 합니다.
    •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점수가 높습니다.
    • 본인 외 1명은 5점, 6명 이상은 35점.
  3. 청약통장 가입 기간 (최대 17점)
    •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등의 가입 기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 가입 기간이 길면 점수가 올라갑니다.
    • 1년은 1점, 15년 이상은 17점.

3. 청약 가점제 적용 대상

청약 가점제는 모든 주택 분양에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 투기과열지구, 청약과열지역전용 85㎡ 이하 민영주택 분양 시 100% 또는 일부가 가점제로 운영됩니다.
  • 전용 85㎡ 초과 아파트나 일부 지역에서는 가점제와 추첨제가 혼합 적용됩니다.
  • 따라서 청약을 준비할 때는 해당 지역의 규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4. 청약 가점 계산 예시

예를 들어 A씨가 다음과 같은 조건이라면 가점은 어떻게 될까요?

  • 무주택 기간: 10년 (20점)
  • 부양가족: 배우자와 자녀 2명 (1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12년 (14점)

👉 총점은 49점이 됩니다.

현재 수도권 인기 지역에서는 당첨 가점이 60점 이상이어야 가능성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무주택 기간이 길고, 부양가족이 많으며, 청약통장을 오래 유지한 사람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5. 청약 가점 관리 전략

  1. 무주택 기간 유지
    • 집을 보유하는 순간 무주택 기간은 초기화됩니다.
    • 가점을 높이려면 무주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청약통장 장기 유지
    • 청약통장은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시간이 지날수록 점수가 쌓이므로 장기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3. 가족 관계 확인
    • 주민등록등본상 세대원 구성에 따라 부양가족 점수가 달라집니다.
    • 필요하다면 세대 분리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6. 청약 가점제의 장단점

  • 장점: 실수요자, 특히 무주택자에게 기회를 더 많이 줍니다.
  • 단점: 고득점자 위주로 당첨이 집중되면서, 젊은 층이나 신혼부부는 현실적으로 점수를 쌓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신혼부부 특별공급, 생애최초 특별공급 등 특별공급 제도를 함께 고려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7. 결론

청약 가점제도는 단순히 운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 청약통장을 오래 유지할수록,

청약 당첨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따라서 청약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지금부터라도 청약통장을 꾸준히 유지하고,

무주택 기간을 지키며, 본인에게 유리한 특별공급 제도도 함께 검토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